만3세 이후 아이들은 사회성 발달이 사작됩니다. 그러면서 다양한 사회경험을 시작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성이 성장하게 됩니다.
이만때쯤이면, 3살이 되는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야할찌? 어디로 보낼찌 고민하게 됩니다. 하지만, 발달심리학에서 말하는 사회성의 시작은 만3세이지만, 우리나라에만 존재하는 세는 나이로 3살부터 어린이집을 보내는 것이라고 착각하게 됩니다.
어린이집 보내기전 이것만은 확인하자!
하버드대학교 연구에 따르면 영유아기의 경험은 두뇌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특히 만3~5세 시기에는 가장 많은 두뇌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입니다. 이시기의 경험이 중요한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을것 입니다. 이러한 시기에 어린이집 등원에 대한 경험을 자녀가 어떻게 받아드릴 것인가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래서 어린이집 보내기전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첫째, 발달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가?
둘째, 놀이의 형태는 어떠한가?
셋째, 규칙을 지킬 준비가 되어 있는가?
위 상황말도고 가장 중요한것 중 하나는 가족내 상황입니다. 맞벌이로 어린이집에 어쩔수 없이 보내야하는 사항이라면, 다른부분을 고민해야 합니다. 어린이집에 얼마나 잘 적응하고, 부모-자녀 간 관계의 질을 얼마큼 높을것인가? 등입니다. 하지만, 어쩔수 없이 어린이집에 등원시켜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다음과 같은 세가지를 확인하고 어린이집 등원 시기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첫째, 발달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가?
가장 먼저 확인해 볼것은 자녀의 발달수준입니다. 발달에는 신체발달, 언어발달 등으로 다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신체발달에서는 본인이 스스로 옷을 입고, 벗고, 밥을 먹고, 세면을 할 수 있는 신체적 발달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대근육과 소근육발달이 이루어져야 가능한 행동들 입니다. 물론, 할 수 있음에도 본인이 하기 싫어서 잘 안할려고 하는 것은 발달한것으로 보는 것이 맞을 듯합니다.
어린이집에 등원하기 시작하면 적은 인원이든 많은 인원이든 타인과 소통을 하게 됩니다. 언어발달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이러한 소통에 따른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겠죠! 자신의 욕구를 한단어라도 표현할 수 있는 정도의 언어발달이 필요하다고 판단합니다.
둘째, 놀이의 형태는 어떠한가?
성장하면서 놀이의 형태도 변화하게 됩니다. 가장 먼저 나오는 놀이는 숙달놀이입니다. 이때 놀이의 특징은 무한 반복입니다. 두드리고, 때리고, 담고, 쏟고 이렇한 놀이는 신체발달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성장하면서 숙달놀이에서 상상놀이로 발달하게 됩니다. 상상놀이는 자신의 생각을 놀이감을 통해서 표현하는 형태입니다. 자신의 상상을 표현하기 때문에 알 수 없는 이야기들을 하는 시기입니다. 그 다음 단계는 사회극 놀이입니다. 상상놀이는 혼자놀이였다면, 사회극 놀이는 상대방이 존재하게 됩니다. 타인과 주고 받는 식의 놀이가 나타나게 됩니다. 대표적인 놀이는 소꿉놀이입니다. 이러한 놀이의 형태는 사회극 놀이가로 발달하였다고 사회극 놀이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숙달놀이+상상놀이+사회극놀이 식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점점 놀이가 다양해지는 특징이 있는 것입니다. 어린이집에 보내는 적절한 시기는 상상놀이가 한참 활달해지면서 사회극놀이가 막 시작할때 쯤으로 보시면 됩니다.
셋째, 규칙을 지킬 준비가 되어 있는가?
만3세를 강조하는 이유 중 하나는 두뇌발달과 연관이 되어있습니다. 두뇌의 역할 중 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차곡차곡 저장시키도록 하는 해마라는 부위가 만3세때 재역할을 하기 시작합니다. 해마가 잘 작동을 해야 장기기억이 가능해집니다. 그래서 만3세가 되면 자신의 이야기들을 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또한 기억이 가능해져야 규칙이라는 것을 지킬 수 있게 됩니다. 어린이집에는 아주 사소한것이라 생각될 수 도 있지만, 다양한 규칙들이 존재하게 됩니다. 이러한 규칙을 잘 지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필수적은 해마의 역할이 필수적인 것입니다.
다양한 이유로 어린이집에 언제 보낼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됩니다. 그러면 저는 한결같이 "만3세 이후에 보내세요"라고 답을 합니다. 그 이유는 다양한 발달심리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어린이집에 언제보낼까 고민이시라면, 자녀의 발달에 사회생활에 적절한지를 확인해 보세요. 신체, 언어, 놀이, 규칙등의 발달을 확인해 보세요.
글쓴이_엄관용
선문대학교 통합의학석사
아이사랑심리상담센터 소장
놀이심리상담사 전문가
저서 놀이치료 1.0, 놀이심리상담사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HD(주의력 결핍 & 과잉행동-충동성장애) 그것이 알고 싶다. (0) | 2019.04.29 |
---|---|
조현병(정신분열증) 그것이 알고 싶다. (0) | 2019.04.27 |
초등학교 입학전 이것만은 확인해보자! (0) | 2019.01.11 |
4차산업에 필요한 놀이, 놀이가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0) | 2018.12.05 |
언어발달을 자극하는 놀이 (0) | 2018.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