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칼럼

조현병(정신분열증) 그것이 알고 싶다.

조현병(정신분열증) 그것이 알고 싶다.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조현병(정신분열증)에 대해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더라고요. 조현병은 무엇일까요? 조현병은 일종의 뇌에 질병이 생겨서 생각과 사고과정, 그리고 감정과 행동에 영향을 주는 병입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혼잣말을 하거나 환청을 듣기도 하고 문제해결과 대처능력의 결핍으로 이상한 행동을 하기도 합니다.

 

∝ 조현병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실제 소리는 없지만 머릿속에서 소리를 듣는 경우, 아무것도 없지만 무엇인가를 보는 경우, 잘못된 신념을 확고하게 믿는 경우, 대화를 지속하기 어려울 정도로 동문서답하거나 애매모호한 대답을 하다면 고위험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빠른 치료 개입이 필요합니다.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이런 증상이 정상으로 간주될 수 있는데 뇌의 병, 조현병은 대부분 인지기능의 이상과 함께 일상생활에서 경험이 결핍되고 정상적인 발달을 방해하며 배우고 습득해야할 사회적 학습과 규칙, 인지발달이 또래에 비해 지연되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조현병의 유병률은 1%나 되지만 많은 사람들이 사회적 낙인, 불안, 부인, 방임, 방치로 인해 적절한 치료 개입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 조현병의 진단기준은 무엇인가요?

1. 망상 Delusions, 잘못된 믿음입니다. 주제와 내용에 따라 피해망상, 관계망상, 신체망상, 종교망상, 과대망상 등으로 구분됩니다. 대부분 문화적으로 또는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신념과 믿음들이지만 조현병 환자의 History안에서 맥락을 살펴보면 망상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사건과 만들어진 과정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망상이 잘못된 생각이라고 반박, 논박하기보다 조현병이 유발된 맥락과 촉발요인을 이해하는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2. 환각 Hallucinations, 외부 자극은 없지만 경험하게 되는 감각들입니다. 그중에서 누군가의 목소리를 듣는 환청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실제 감각체계 맥락 안에서 소리를 듣는 것으로 경험합니다. 즉, 진짜 소리는 없지만 청각과 관련된 뇌신경이 활성화되고 지각되는 것입니다. 내용은 다양하며 비난하는 목소리를 듣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3. 와해된 사고 Disorganized thinking, 타인과 대화를 어렵게 만드는 것으로 한 가지 주제 에서 이야기하다가 갑자기 다른 주제로 넘어가거나 질문에 대한 애매모호한 대답을 하는 경우, 횡설수설하는 경우, 비논리적인 경우가 해당되며 와해된 사고는 대인관계를 어렵게 만듭니다.

 

4. 비정상적 운동 행동, 지시에 저항하는 것, 부적절한 행동, 경직된 자세, 괴이한 자세 등이 해당되며 반복적 운동, 응시, 함구증, 언어반향, 찡그리기 등으로 행동이 사회 통념적으로 볼 때 이상한 경우에 해당됩니다.

 

5. 음성 증상 Negative symptoms, 정서와 감정 표현 감소, 얼굴 표정, 눈 맞춤, 말의 억양과 동작 감소가 포함되며 동기와 목적이 있는 활동이 감소되어 흥미와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 줄고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 조현병은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요?

조현병 환자들에게 항정신병 약물과 더불어 복합약물요법(Polypharmacy)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한국형 조현병 약물치료 지침 2006과 PANSS, 동반증상 및 부작용을 고려해 약이 처방됩니다. 대표적인 약으로 Olanzapine(올란자핀), clozapine(클로자핀), Quetapine(쿠에타핀), ALKS3831, Risperidone(리스페리돈)이라고 합니다. 건강보험공단 통계에 의하면 국내 조현병환자는 10만 8000명으로 집계되었고 유병률을 고려한다면 실제 조현병을 앓고 있는 환자는 50만명에 이를 것이라 분석하기도 합니다. 조현병 치료는 약에 대한 순응도가 매우 중요하고 꾸준히 약을 먹어야 하지만 약에 대한 부작용(체중증가, 형당증가, 졸림, 구강건조증 등)과 두려움 때문에 항정신병약에 비순응을 보이는 경우가 너무 많고 이로 인한 재발률도 높은 것이 현실입니다. 정신치료와 정신사회적 개입으로 사회기술훈련(행동치료), 가족중심치료, 사례관리, 공동체치료, 인지행동치료, 개인 정신치료, 직업재활은 인지적 왜곡의 교정과 증상의 개선을 도와 재발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조현병에 대한 편견과 오해는 사회적 낙인을 찍고 조기 진단과 치료를 기피, 회피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또한 언론사의 무분별한 조현병을 이용하는 기사, 조현병과 범죄자에 대한 근거 없는 보도, 타당한 근거 없는 언급은 조현병에 대한 편견과 오해의 골을 깊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는 치료관점에서 환자와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에 악영향을 미치는 주범이라 생각이 됩니다. 더 나아가 자신의 병을 감추고 치료에 비순응적, 저항적, 기피하도록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조현병에 대한 이해는 범죄자와 동일시했던 고정관념과 위험하다는 편견에서 벗어나게 하며 조기진단과 치료는 한 사람의 인생을 넘어 가족 붕괴를 방지하고 더 나아가 사회적 안정에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됩니다.

 

글쓴이_엄연용
아이사랑심리상담센터 소장
건양대학교 임상심리 박사과정
임상심리사 2급
아이사랑심리상담센터(https://www.ilovet.kr/ )

사업자 정보 표시
아이사랑심리상담센터 | 엄연용 | 충남 천안시 동남구 충절로 107 1층 | 사업자 등록번호 : 312-92-17700 | TEL : 041-575-7598 | Mail : eyy83@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